랜딩페이지나 설문을 통해 의미 있는 숫자를 확인하셨나요?
기존에 했던 테스트와는 다르게 100배 200배 이상의 반응이 있는 사업 아이템을 찾으셨나요?
반응이 있는 아이템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드디어 성공하였다니 축하드립니다!
이제 정부사업을 받고 시드투자를 유치하고 드디어 성공할 준비만 하면 될까요?
투자 및 정부 사업 이전 꼭 한 가지를 더 체크하셔야 합니다.
그것은 바로 수익 및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라서 조금 실망하셨나요?
이미 수익 모델이나 비즈니스 모델은 생각해 뒀는데 무슨 소리야.. 이렇게 느끼실 수도 있으실 겁니다.
네, 창업자라면 자신의 서비스에 대한 수익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잘 정리해두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 글을 읽으시는 대부분의 초기창업자(상품을 제작하는 기업제외)의 비즈니스 모델은
초기에 수익이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구조일 겁니다.
스타트업이니까 당연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저 또한 이러한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반응 있는 고객을 빠르게 모으고 서비스가 어느 정도 안정화 되었을 때 수익화를 하자!"
"유저를 확보만 한다면 뭐라도 해서 돈을 벌 수 있을 거야!"
"나중에 이렇게 하면 수익모델을 만들 수 있어!"
하지만 대부분의 초기 스타트업에게 초기단계부터 수익화와 비즈니스 모델의 정교한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양적완화가 끝난 뒤 2022년 기준으로 스타트업을 운영하기 어려운 외부적 환경들이 증가하고
제가 본 많은 초기기업(시드투자 ~시리즈 A)들이 망하고 있습니다.
실제 성장 중인 기업들이 규모를 축소하고 서비스를 바꾸거나 추가하고 있습니다.
유저를 1만 ~ 10만 명을 모으면서도 왜 어려움을 겪을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생각보다 돈을 벌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타트업은 생각보다도 더 돈을 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사업 시작초기 단계부터 고객들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명확한 모델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듣기에는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명확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명확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업들에게는 목숨을 한 개 가지고 있는 슈퍼마리오 게임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구덩이에 빠지면 게임이 끝납니다.
사업 시작 전 다양한 아이디어를 탐색하면서 꼭 수익에 대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아이템을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아이템을 찾는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창업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가에게 필요한 이야기 - 4.팀원 (0) | 2024.03.22 |
---|---|
#창업가에게 필요한 이야기 - 3.지원사업 (0) | 2024.03.14 |
#창업가에게 필요한 이야기 - 1.창업자의 아이디어 검증 (0) | 2024.03.07 |